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하심
- 하안거
- 하얀쥐의해
- 숫타니파타
- 석가모니불
- 고정관념
- 자유인의길
- 부처와 조사와 선지식
- 종립선원
- 봉암사
- 산문개방
- 몽중유
- 모과
- 부처님오신날
- 대자유
- 시주 무서운줄 알아라.
- 화두
- 형상
- 불교교리
- 아집
- 수좌회
- 조실
- 입적
- 관념
- 큰스님
- 해탈의 길
- 우물안올챙이
- 계율
- 적명스님
- 아상
- 경전
- 연등
- 선지식
- 근하신년
- 만행
- 새해각오
- 진리의 길
- 빈자일등
- 일주문
- 쥐띠해
- 불교
- 영원한 행복
- 일일부작이면 일일불식하라
- 만장
- 참선
- 적명대종사
- 스님
- 초파일
- 자유의 길
- 일의일발
- 반철산행
- 영결식
- 법문
- 다비식
- 선사
- 희양산
- 수행
- 아만
- 선방
- 산행
- 학명선사
- 분별심
- 동안거결제
- 백장선사
- 꼴뚜기
- 무소유
- 울타리가 좁으면 들어 설 자리도 좁다
- 천상천하 유아독
- 경자년
-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 욕망
- 어물전 망신
- 자등명 법등명
- 봉암사결사
- 선
- 윤달
- 수좌
- 어두운밤길
- 동안거
- 사찰
- 조계종
- 우물안개구리
- Today
- Total
hanju
오음성고(五陰盛苦) 본문
우리 중생계 인간의 삶에는 누구를 막론하고
피할 수 없는 네가지 고통(四苦)이 있으니,
사랑하는 사람과 헤어져야하는 애별리고(愛別離苦)의 고통.
미운 사람과 만나는 원증회고(怨憎會苦)의 고통.
구하여도 얻지 못하는 구부득고(求不得苦)의 고통.
그리고,
오늘 설명 하고져 하는 오음성고(五陰盛苦)의 고통을 합쳐서 이름이다.
오음성고(五陰盛苦)란?
생노병사(生老病死)의 육체적 괴로움과
애별리고(愛別離苦), 원증회고(怨憎會苦),
구부득고(求不得苦)라는
세가지 정신적 괴로움을 합쳐서 요약하면
결국,
오음성고(五陰盛苦)라는 한 가지로 귀결된다.
사고팔고중에서,
생노병사는 육체적인 괴로움이며
애별리고 원증회고 구부득고는
정신적인 괴로움인 반면에
오음성고는
육체적· 정신적인 괴로움 모두를 포함하는 것이다.
오음은 오온(五蘊)을 말하는 것으로
우리 인간의 몸을 구성하는
물질적인 색(色)과
정신적인 수상행식(受 想 行 識)의 요소,
이 오온 각각의 요소들에 집착 하는데서 오는
괴로움이라고도 할 수 있다.
우리에게 괴로움이 생긴다는 말은
곧,
다섯 가지 요소 가운데
한 가지가 괴롭다는 말로도 풀이할 수 있다.
첫째,
색(色)이란?
빛깔과 모양을 가지고 있는 물질을 말한다.
우리 인간에게 있어서는 지수화풍(地水火風)의
사대(四大)로 이루어진 육신을 말한다.
이 육신,
몸은 항상 여일하지 않으며
고정된 실체가 아니기 때문에
몸에 집착하면 곧 괴로울 수밖에 없다.
둘째,
수(受)는,
인간의 정신작용 가운데
"느낌"이나 "감정"을 말한다.
느낌이나 감정 또한 인연 따라,
상황 따라 끊임없이 변하는 것이며
실체가 없다.
느낌이나 감정에 집착하는 것은
결국 괴로움일 뿐이다.
사람들은 그 "좋은 느낌"이
끊임없이 이어지기를 바라며,
"싫은 느낌"이 오는 것을 싫어하고
멀어지려 애쓰는데도 멀어지지 않는데서
진심, 성냄이 일어나는 것이며
바라는 대로 되지 않으니 괴로움이다.
셋째,
상(想)은,
인간의 정신작용 가운데
개념, 표상작용 사유작용이라고 할 수 있다.
인간은 자기 자신의 가치관이나 고정된 관념,
생각, 개념, 분별 등을 가지고 있는데
이것을 상(想)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모든 관념, 개념, 표상작용 또한
항상 지속하지 않으며
인연 따라 끊임없이 변해갈 뿐이다.
가치관도 끊임없이 변하고,
세계관도 변화하는 것일 뿐이다.
그런데 어떤 하나의 관념이나 개념에 얽매여
집착하게 되면 그로인해 괴롭다.
넷째,
행(行)은?
욕구, 의지작용이다.
행은 본래 "형성하는 힘"이라는 뜻을 가진 말로써
인간이 업(業)을 짓게 되는 것도
이 행의 작용이 있기 때문이다.
물론,
인간의 의지나 욕구 또한 항상 하지 않으며
고정된 실체가 없기 때문에
이에 집착하는 것은 곧 괴로움이다.
다섯째,
식(識)은?
분별, 인식 작용을 말한다.
우리에게 대상들이
어떤 존재라고 인식되는 것은
바로 이 식(識)의 작용이 있기 때문이다.
나와 내 밖의 세계가 존재한다고 인식하며,
"나고, 늙고, 병들고, 죽는 내가 있다"고
생각하고 판단하는 것이다.
나와 세계에 집착하게 만들고
결국 괴로움을 몰고 오는 것이다.
즉,
본래 나라는 존재는 실체가 없어 무아(無我)이며,
이 세계는 텅 빈 공(空)일 뿐이지만
바로 이 식에 의해서 사량분별인식 됨에 따라
나와 세계가 있다는 착각을 일으키는 것이다.
여기서 다시,
오온의 원인을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나다"
"내 것이다"
"내가 옳다".....하는 상(相)을 가지기 때문에
그만큼 괴로움이 오는 것이다.
괴로움의 주체는 바로 "나" 인 것이다.
나를 내세우고 나를 너무 애착하기 때문이다.
색욕과 더불어
육신을 좀 더 편안하게 하려는 욕심,
항상 부지런히 일해서
몸을 움직여야 하는 데서 오는 괴로움,
좋은 느낌만을 가지고 싶지만
주위의 인(因)과 연(緣)의 경계에 따라서
싫은 느낌을 받는데서 오는 괴로움 등
육체와 정신에서 오는 괴로움들이 바로 그것이다.
이것이 모든 괴로움의 근본이 되는 것으로
"나다" 라는 상을 여의면
사라지는 괴로움인 것이다.
오음성고의 괴로움을 벗어나기 위해서는
오온이 고정된 실체가 있는 것이 아니고,
공(空)하다는 사실을 올바로 조견(照見)할 때
이 괴로움은 소멸되는 것이다.
오음성고의 괴로움이 소멸되면
일체 모든 괴로움이 소멸된다.
반야심경에서의,
"조견오온개공 도일체고액
(照見五蘊皆空 度一切苦厄)"이란 말의 의미는
바로 이러한 관점에서 나온 것이리라.
'법문(法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해에는...... (0) | 2019.12.31 |
---|---|
선지식을 참례하라. (2) | 2019.12.27 |
구부득고(求不得苦) (0) | 2019.12.24 |
원증회고(怨憎會苦) (0) | 2019.12.24 |
애별리고(愛別離苦) (0) | 2019.12.24 |